반응형

수능일 단축장(1시간 순연)에도 바이오·조선·2차전지 + 외국인 현물 매수가 맞물리며,
“조용하지만 수급은 좋은 장”이었습니다.
1) 지수 요약 — “외국인 1조 매수, 코스닥이 더 탄력”
- 코스피: 4,170.63 (+0.49%, +20.24p) · 4거래일 연속 상승
오전 갭하락 출발 → 오후 완만한 우상향으로 4,170선 회복.
미 연방정부 셧다운 종료로 “최악은 피했다” 심리 + 외국인 현물 매수 재유입이 지수 방어. (M-i, 뉴스토마토) - 코스닥: 918.37 (+1.31%, +11.86p)
코스피의 약 3배 수익률. 2차전지·바이오 중심으로 이틀 연속 강한 반등. (Opinion News, 마켓in) - 오늘 특징: 수능일로 장이 1시간 늦게 개장했지만 변동성은 낮고 수급은 우호적.
바이오·조선·2차전지 강세 + 외국인 매수 조합. (다신머니, 아시아경제 CORE)
🧩 한 줄: 지수는 완만, 체감은 강함(코스닥 중심).
반응형
2) 섹터 스코어보드 — 상승 TOP3 / 하락 TOP3
⬆️ 상승 섹터 TOP3 (WICS/코스피 기준)
- 비철금속·금속 계열: 비철 +5%대, 금속 +2~3%대
→ 구리·알루미늄 등 원자재 가격 반등 기대 + 중국 부양 기대로 시클리컬로 수급 회전.
(네이트 뉴스, 아시아경제 CORE) - 생물공학/제약(바이오): 생물공학 +4%대, 제약 +1~2%대
→ 에이비엘바이오 초대형 기술이전(3.8조원 규모) 후광이 코스닥→코스피로 확산, K-바이오 재평가.
(Opinion News 등) - 조선·기계장비: 기계장비 +3.9%
→ 조선 수주 + 원전·플랜트·인프라 투자 기대 결합. 두산에너빌리티·HD현대중공업이 리드.
(현대경제신문, 아시아경제 CORE)
⬇️ 하락 섹터 TOP3 (코스피 기준)
- 보험(−1.0%): 초반 급등 구간에 대한 차익실현.
- 운송창고(−0.6%): 셧다운 해소에도 유가·물동량 불확실성.
- 유통(−0.4%): 소비 둔화 우려 + 연말 프로모션 비용 부담. (아시아경제 CORE)
요약: “금속·조선·바이오” 강, “보험·유통” 숨고르기 → 전형적 순환매.
3) 상승·하락 종목 체크 (이유 포함)
🔺 상승
- 에이비엘바이오(+29.04%, 코스닥)
일라이 릴리와 플랫폼 기술이전·공동 R&D(약 3.8조) 발표 이후 이틀 연속 상한가 근접.
코스닥/바이오 역사급 딜 → K-바이오 밸류 재평가 트리거. (Opinion News, 토스증권 리포트) - 두산에너빌리티(+5.99%, 코스피)
원전·수소·풍력 등 에너지 인프라 플레이. 셧다운 종료 → 경기 급락 리스크 완화 수혜로 자금 집중. (현대경제신문) - HD현대중공업(+5.97%, 코스피)
LNG선·방산·해양플랜트 기대 동시 반영. 최근 조정 후 거래대금 동반 유입으로 섹터 리더십. (현대경제신문) - LG에너지솔루션(+3.26%, 코스피) / 에코프로비엠(+3.03%)·에코프로(+1.18%, 코스닥)
위험자산 선호 회복 + EV/ESS 중장기 스토리 재부각으로 대형·대장 동반 강세. (현대경제신문, 다음) - 코스닥 바이오·헬스케어(휴젤·펩트론·파마리서치·셀트리온제약·삼천당제약 등)
ABL 후광 + 비만치료제·항암제 글로벌 모멘텀 결합 → 테마→섹터로 성격 변화. (다음)
🔻 하락
- 케어젠(−4.11%): 바이오 강세 속 단기 급등 피로 + 개별 이슈로 차익실현.
- 보로노이(−1.79%)·리가켐바이오(−1.64%): 대형 기술이전 수혜 연결 약한 라인 중심 조정.
- 원익IPS(−1.57%)·리노공업(−1.23%) 등 일부 장비·테스터:
반도체 대형 → 장비 확산 후 숨고르기. IT 회복 속도 경계 + 밸류 부담 반영. (해석)
4) 수급 코멘트 — “코스피 외국인 주도 / 코스닥 개인·기관 방어”
코스피 (M-i, 뉴스토마토, 뉴스투데이)
- 외국인: 현물 약 +1조(9,900억 내외) 순매수
- 개인: −1,700억 순매도
- 기관: −7,800억 순매도
→ 전일은 기관이 끌었고, 오늘은 외국인이 바통터치해 지수 방어.
→ 매수 업종: 금속·조선·기계 등 시클리컬 + 일부 2차전지·바이오
→ 금융주는 전일 급등분 되돌림으로 매도 우위.
코스닥 (다음, Opinion News, M-i)
- 외국인: −800~−900억 순매도
- 개인·기관: 각 +400억 / +900억 순매수
→ 바이오·2차전지·로봇 등 고베타를 개인·기관이 받아내는 구도.
→ 외국인은 단기 급등 종목 차익 실현, 코스닥은 매물 소화하며 상방 열림.
5) 내일(11/14, 금) 관찰 포인트
- 외국인 매수 지속 여부
- 오늘 +1조 유입이 이어지면 4,200선 재도전 가능.
- 즉각 매도 전환 시 4,150부근 박스 상단 굳을 수 있음(위쪽은 비중 조절 구간 인식).
- 바이오·2차전지 과열 체크
- 상한가·+20% 급등 종목 증가 시 단기 과열 신호.
- 추격 금지, 눌림·조정 분할만 점검.
- 조선·기계·금속 시클리컬 랠리 지속성
- 거래대금 동반 상승 지속 시, 전일 금융 중심 → **실물 경기 플레이(수주·인프라)**로 주도권 이동 확인.
- 수능 종료 이후 정상 거래시간 복귀 효과
- 개인 수급이 중소형·테마로 재유입될지, 변동성 확대 감안.
📌 결론 요약
- 지수: 코스피 완만 상승, 코스닥이 더 탄력적.
- 섹터: 금속·조선·바이오 강세 / 보험·유통 숨고르기.
- 수급: 코스피는 외국인 1조 순매수가 주도, 코스닥은 개인·기관 방어.
- 내일 체크: 외국인 매수 지속 / 바이오·2차전지 과열 / 시클리컬 주도권 전환 / 개인 수급 복귀.
반응형
'주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코스피 -3.8%… AI 한 방에 무너졌다 → 코스피 붕괴… 내일이 더 중요하다 (0) | 2025.11.14 |
|---|---|
| “AI 쇼크, 오늘 하락이 끝이 아닐 수도 있다 / 코스피 -3%, 과열 해소일까 진짜 시작일까? (0) | 2025.11.14 |
| 금융이 시장을 끌고, 반도체는 잠시 숨 고른 하루 종가 리캡 (11월 12일 수) (0) | 2025.11.12 |
| 장 마감 리캡 (C— 승자/패자/이유/수급 (11/11, 화) (0) | 2025.11.11 |
| 중국, 희토류 수출 통제 완화 검토 — ‘VEU 선택 허가제’로 전환 신호 (0) | 2025.11.11 |